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제13회 대회영상

[14회 대회] 20분의 기다림 속, 문화를 공유하다 - H. 지구본 연구소

[14회 대회] 20분의 기다림 속, 문화를 공유하다 - H. 지구본 연구소

1. 문제인식
도시를 벗어나 농촌으로 들어서면, 여러 가지 불편한 상황들을 마주하게 되는데 그중 하나가 버스 정류장 문제이다. 농촌지역에는 버스 운행 시간표가 제대로 표기되어있지 않거나, 시간표에 적혀 있는 대로 운행되고 있지 않으며 버스 운행 시간표도 떨어져 있고 버스정류장은 시설관들이 낡아 있고 주변에 쓰레기가 쌓여있고, 운행 시간이 길어 오랜 시간을 기다리기 힘들었던 일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학교 앞 버스 정류장이 관리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2. 대안정책
정책 제안 전 설문조사를 실시 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을 하였다. 질문에는 버스를 기다릴 때 주로 무엇을 하는지, 버스 정류장에 어떤 것이 전시되면 좋을지, 버스 정류장에 어떤 시설이 설치 되면 좋을지 질문 했고, 응답자들은 각 질문 순서대로 핸드폰, 네컷만화, 버스시간 안내 전광판에 투표를 가장 많이 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 3조 제 4조와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 제 5조를 찾아 참고하였다. 또한 현재 대도시의 경우 다양한 버스 정류장의 건립이 시도되고 있으며, 우리 지역의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버스 정류장의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수립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각 학교 앞의 버스 정류장 만이라도 학교마다 동아리 차원에서의 관리를 진행하자는 제안을 하고 직접 실천하였다. 

우리의 정책 
1. 노후화된 버스 정류장의 교체 충청남도에 5월달에 정책 제안을 하였으며 심사 결과 버스 정류장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2. 버스 정류장의 지속적인 관리위해 교육부 차원의 학교활동 지원사업 구상과 행정 관청의 학교 앞 버스정류장 관리의 협력체계를 구성을 제안.
교육부와 행정군청 그리고 학교가 협력체계 구성하여 관리를 하면 환경을 정화하는 것 외에도 공공 디자인의 측면과 마을이 이 모두 함께 사용한다는 측면 그리고 경제적인 면을 고려 했을 때 지속적 인 관리를 할 수 있다.
3. QR 콘텐츠 이용으로 공간도 절약하고 마을 주민들과 문화 공유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버스 정류장에서 핸드폰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학생작품이나 네컷만화 등을 QR콘텐츠로 만들어 전시하면 작품을 쉽게 볼 수 있고 정보도 공유 할 수 있다.

3. 공공정책
위 3개 정책을 실시할시 기대효과는 주민들의 만족도 증대, 교통사고 예방, 대중교통 이용 증대,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 버스 정류장 관리의 효율성 새로운 문화적 공간 탄생으로 지역 홍보, 학교의 특색이 나타나는 활동 및 소개, 교육과정과 연계된 동아리 활동의 자율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4. 실행계획
관련기관과의 만남을 가지며 학교 앞 버스정류장을 학교 특색에 맞는 활동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였고, 동아리 멤버들이 정책 제안 발표를 준비하고 서천군에서 발표도 하고, 정책 제안 준비를 위한 여름 캠프도 진행하여, 우리가 계획한 정책들을 직접 실현 시키기 위해 위에 동아리차원에서 깨끗한 환경조성부터 QR코드 만들기, 작품전시까지 활동하였다. 앞으로 교육부의 사업 구상을 위한 만남과 군청과의 협력을 함께 만들어 가기를 기대해 본다.
사이트 위로가기